📌 국민연금 두 배로 받는 현실적인 방법 3가지
노후 준비의 중요성은 누구나 잘 알고 있다. 나 역시 50대가 되면서 연금, 특히 국민연금의 중요성을 실감하게 됐다. 주변에 노후 대비가 제대로 되지 않아 걱정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더욱 철저히 준비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.
최근 자료에 따르면 국민연금 평균 수령액이 월 64만 원 정도라고 한다. 솔직히 이 금액만으로는 충분한 노후 생활을 기대하기 어렵다. 하지만 방법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. 국민연금을 지금보다 최대 두 배로 늘릴 수 있는 현실적 방법이 존재하기 때문이다.
내가 직접 공부하고, 연금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실제로 효과를 보고 있는 방법 세 가지를 공개하겠다.
✅ 국민연금을 두 배 늘리는 ‘3종 세트’
국민연금을 효과적으로 늘릴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은 3가지다.
① 추후 납부
② 임의 계속 가입
③ 연기연금
지금부터 이 세 가지 방법에 대해 실제 경험과 함께 설명해보겠다.
📌 ① 국민연금 ‘추후 납부’
국민연금 '추납(추후 납부)'은 과거에 소득이 없거나 여러 사정으로 보험료를 납부하지 못한 기간을 뒤늦게 낼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이다.
예를 들어 내가 군대를 다녀온 기간이나 자영업을 하며 어려웠던 시기에 미납한 보험료가 있다면, 그 기간을 추납하여 나중에 받을 연금액을 높일 수 있다.
단, 2021년부터는 추납 가능한 기간이 최대 119개월(약 10년)로 제한됐다. 나도 얼마 전 국민연금공단에 전화해서 내 추납 가능한 기간을 조회해보니 약 5년(60개월) 정도 나왔다. 즉시 납부하지 않고 천천히 여유가 생겼을 때 납부할 계획이다.
추납할 보험료는 현재 내는 보험료 기준으로 산정되므로, 여유가 있다면 미리 납부할수록 더 유리하다. 만약 추납을 고려 중이라면 국민연금공단에 전화하여 가능 기간을 미리 확인하길 추천한다.
📌 ② 국민연금 ‘임의 계속 가입’
국민연금은 만 60세까지만 의무적으로 내고, 그 이후로는 내지 않아도 된다. 하지만 더 내고 싶은 사람들을 위해 마련된 것이 바로 '임의 계속 가입' 제도다.
개인적으로 국민연금만큼 수익률이 보장된 상품이 없다고 생각해, 나는 60세 이후에도 계속 납입을 이어갈 계획이다. 이렇게 3~5년 더 납입하면 연금액을 크게 늘릴 수 있다.
실제 국민연금공단에서 확인한 바로는 월 10만 원씩 5년간 추가로 납입하면 월 연금액이 약 10만 원 이상 추가로 증가한다고 했다. 노후 대비를 더욱 탄탄히 하고 싶다면, 60세 이후에도 연금 납입을 중단하지 말고 '임의 계속 가입'을 고려하자.
📌 ③ 국민연금 ‘연기연금’
정해진 연금 수령 시기를 최대 5년까지 미루는 제도가 '연기연금'이다. 이 제도를 활용하면 연금액이 매년 7.2%(월 0.6%)씩 증가한다.
만약 내가 원래 받을 연금이 월 100만 원이라고 했을 때, 5년을 연기하면 총 36%가 증가한 136만 원을 평생 받을 수 있다. 처음에는 '굳이 연기할 필요가 있나' 싶었지만, 실제 계산을 해보니 생각보다 효과가 컸다.
물론 당장 생활비가 필요한 사람이라면 이 방법이 맞지 않다. 하지만 나처럼 노후 대비가 어느 정도 되어 있고, 좀 더 높은 연금액을 원한다면 꼭 고려해볼 만하다.
✅ 국민연금 두 배 늘리는 실제 사례
내가 직접 상담받으며 국민연금 전문가에게 들은 사례를 소개하겠다.
1969년생으로 55세인 A씨는 현재 연금 예상 수령액이 월 64만 원이었다. 하지만 국민연금공단에 문의해보니, 추납 가능한 기간이 최대 119개월(약 10년)이 나왔다고 한다. 그는 월 보험료 9만 원으로 추납(약 1,071만 원)을 하기로 했다. 그렇게 하니 월 연금액이 12만 원 상승했다.
이어서 그는 60세 이후 임의 계속 가입을 통해 추가 5년을 납부했고, 그로 인해 월 연금이 다시 20만 원이 늘었다. 여기까지 합산하면 연금은 월 96만 원까지 증가한다.
여기서 끝나지 않고 연금 수령을 최대 5년(65세→70세) 연기해 연금액을 36% 늘렸다. 최종적으로 그는 월 130만 원을 평생 받을 수 있게 됐다. 64만 원에서 130만 원으로 무려 두 배가 넘게 증가한 것이다.
📌 내 결론과 추천 전략
내 경험상 50~60대의 가장 확실한 노후 대비책은 '국민연금'이다. 물론 퇴직연금, 개인연금, 주택연금도 중요하지만, 안정성과 수익률을 동시에 갖춘 것은 역시 국민연금뿐이다.
국민연금을 두 배로 늘리는 3가지 방법을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.
- ✔ 추후 납부: 납부하지 못한 기간을 채워 연금액 증가
- ✔ 임의 계속 가입: 60세 이후에도 보험료 납부로 연금액 증가
- ✔ 연기연금: 연금 수령 시기 연장으로 연금액 대폭 증가
이 3가지만 잘 활용하면 평균 64만 원이던 국민연금을 월 100만 원 이상, 많게는 두 배까지 늘릴 수 있다.
연금 준비가 아직 부족하다고 느낀다면 지금부터라도 위 방법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노후를 탄탄하게 준비하길 바란다.
이제는 걱정이 아닌 구체적인 실행으로 나의 노후를 직접 챙겨보자.